파워비아이/파워비아이 동영상 강의 12

추가 파일 업데이트가 쉽게 파워쿼리 세팅하자!!! (폴더로 데이터 가져오기)

지금까지 반복적으로 추가가 필요한 데이터 관리를 어떻게 하셨나요? 만약 데이터를 하나하나 추가한 뒤 다시 파워비아이를 수정하는 작업을 반복했다면, 폴더로 데이터 가져오기를 하면 아주 간단히 추가되는 데이터가 있어도 간단하게 폴더에 추가시킨 뒤 파워비아이에서 새로고침만 해주면 바로 모든 데이터가 보고서에 적용됩니다. 이는 Binary라는 좀 독특한 데이터 저장 방식이 있어서 가능한데요. Binary에 저장된 모든 엑셀 데이터를 Excel.Workbook이라는 수식으로 불러와 새로운 열을 만들면 아무리 많은 데이터가 있더라도 한 테이블 안에 다 불러올 수 있습니다. 여기에 열 분할을 이용해 파일 이름을 새로운 연도 열로 만들어 적용시키면 데이터가 추가될때마다 기존 폴더에 파일만 넣어주면 몇 초 만에 새로운 ..

ChatGPT를 이용해 DAX 수식 만들어 파워비아이에 적용하기

파워비아이에 ChatGPT가 이용되면 많은 도움을 받을 수 있습니다. 파이썬이나 R 등의 컴퓨터 언어의 코딩을 도움받아 작업의 효율을 높일 수도 있지만, 가장 좋은 것은 DAX 수식을 자동으로 만들어 준다는 것이라 생각되는데요. 물론 잘 ChatGPT가 잘 알아들을 수 있도록 입력해야겠지만, 그래도 DAX 수식을 만들기 위해 여러 인터넷 사이트를 돌아다니는 수고를 줄일 수 있기에 엄청나게 시간을 절약할 수 있다는데 큰 의미를 부여하고자 합니다. 프로젝트를 진행하며 계속 테스트 중이기 때문에 어떤 질문 형태가 최적화된 것인지 곧 알게 될 것 같습니다. 그동안 DAX라는 큰 벽에 가로막혀 파워비아이를 멀리하셨던 분들도 이 기회에 다시 한번 도전해 보시면 어떨까 합니다. 아래의 영상을 보시고 ChatGPT를 ..

멋진 Dynamic 버튼 만들기 (2) - 레이어를 이용한 페이지 이동 효과!!!

저번 글에는 이미지를 활용한 버튼으로 페이지를 이동하는 방법에 대해 말씀드렸는데요, 이번 글에서는 버튼에 이미지 대신 글자를 넣고 페이지 이동 대신 레이어를 이용해 페이지 이동 효과를 볼 수 있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페이지 이동 대신 레이어를 이용하게 되면 장단점은 아래와 같습니다. 장점: 한 페이지에 모든 것이 이루어지므로 페이지를 여러 개 만들 필요가 없다 단점: 여러 페이지가 필요 없지만, 페이지 수많은 레이어를 만들고 서로 연결해야 한다. 저번 글에서 만든 보고서를 이용하겠습니다. 먼저 사랑을 위해서 빈 버튼을 만들고 각 버튼에 Labor, Mat, Equip, Sub이라고 넣습니다. 그리고 보기 좋게 버튼을 정렬합니다. 이제 레이어를 만들 차례인데요, 만약 Labor 버튼을 누르면 인건..

멋진 Dynamic 버튼 만들기 - 덤으로 페이지 이동까지 적용하기

파워비아이로 보고서를 만들 때 고민거리는 보여줄 것은 많은데 페이지 크기는 한정적이라는 것이죠. 테이블, 차트, 슬라이서등 이것저것 배치하다 보면 두 페이지, 세 페이지는 기본처럼 되어버립니다. 단순 보고서가 아니라 프리젠테이션에 필요한 자료라면 뭔가 좀 색다른 방법으로 페이지를 이동하고 싶었습니다. 서식에 있는 버튼 (단추)에 이미지를 삽입시킨 뒤, 버튼의 기본상태, 커서가 이미지 위에 있을 때, 이미지를 클릭할 때 각각 서식을 저장 시켜 이미지에 효과를 주고 여기에 페이지 탐색 옵션을 선택해 원하는 페이지로 이동할 수 있습니다. 버튼의 서식을 이용해 시각적인 기능을 극대화하며 페이지 이동까지 가능한 일석이조의 효과를 가질 수 있는데요, 만드는 것은 아주 간단하지만, 효과는 만점에 가까우니 보고서를 만..

슬라이서 값에 따라 변하는 그래프 - SELECTEDVALUE 함수의 마법 - DAX 함수

파워비아이에서 SECECTEDVALUE 함수의 쓰임새는 참 많습니다. 함수 하나만 본다면 그저 입력치를 판단해 출력해주는 단순한 함수일 뿐입니다. 하지만 이러한 기능이 여러 개의 함수와 조합이 된다면 본래의 기능 이상의 결과물을 만들어 낼 수 있습니다. 가장 마음에 드는 기능이 문자는 물론이거니와 숫자까지 인식을 한다는 것인데요. 이러한 기능으로 인해 반환값을 숫자로 정하면 결과치를 사칙연산에 이용해 조건문 (IF) 처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슬라이서읙 값에 따라 변하는 그래프를 만들어 보았습니다. 슬라이서의 연도에 따라 물가 상승률이 다르게 적용돼 매년 증가하는 공사금액을 나타내는 그래프로, 슬라이서의 반환 값을 이용해 어떤 식으로 수식을 만들며, 더 나아가 수식을 변수로 이용해 다른 수식을 만들어 필..

파워비아이에 한글 글꼴 추가하기 - 보고서를 멋지게!!!

파워비아이로 보고서를 작성하다 보면 한 가지 고민에 빠지게 됩니다. 영어로 보고서를 작성하면 큰 문제가 되지 않는데 한글은 글꼴을 변경해도 바뀌지 않습니다. 아직 파워비아이가 한글과 호환이 100% 되지 않는 것일까요? 그래서 한글로 보고서를 만들면 글꼴은 하나뿐이라 생각하고 보고서를 작성합니다. 예쁜 한글 글꼴은 윈도우 폴더 내 폰트 (Font) 폴더에 많이 저장되어 있는데 이를 쓸 수 없다는 것이 참 안타까울 뿐입니다. 방법을 알아보다 우연하게 WhatTheFact라는 사이트를 발견해 그곳에서 이야기하는 데로 따라 해 보니 아주 간단하게 폰트의 추가가 가능했습니다. 덕분에 아주 힘없이 보이던 한글이 아주 굵은 글자로 변경이 되었는데요, 일단 이렇게나마 한글에 적용할 수 있는 방법이 있어서 다행이라 생..

팝업창을 만들어 보고서 예쁘게 정리하기

파워비아이 (Power BI) 보고서를 만들 때 보여줄 것은 많은데 페이지가 너무 작다는 생각은 누구나 해 보셨을 것입니다. 여러 슬라이서, 표, 도표 등을 좀 더 깔끔하게 정리할 목적으로 팝업창을 만들어 사용하고 있습니다. 크게 어렵지 않으며, 간단하게 몇 단계만 거치면 아주 멋지고 깔끔한 팝업창을 만들 수 있는데요, 이렇게 보고서를 만들면 좀 더 전문가 스럽기도 하니 일거양득의 효과를 볼 수 있죠. 특별히 DAX나 M-Code가 필요한 것도 아니고 레이어와 책갈피만 잘 이용하면 아주 멋진 팝업창을 만들 수 있죠. 오늘 말씀드리는 팝업창 만들기를 잘 알아두시면 꼭 지금이 아니더라도 나중에 보고서를 만들 때 반드시 도움이 될 수 있으니 꼭 알아두셨으면 합니다. 간단하게 팝업창 만들기 한번 보실까요?

테이블의 모양을 예쁘게 바꾸어 보고서 멋지게 꾸미기

파워비아이 (Power BI) 보고서를 만들 때 테이블은 거의 필수요소입니다. 테이블의 장점은 그래프에 비해 많은 정보를 제한된 공간에 보여줄 수 있다는 것입니다. 파워비아이의 초기 테이블도 그리 나쁘지 않지만, 이런 테이블을 좀 더 예쁘고 보기 좋게 만든다면 보고서도 더 화려해 보일 것입니다. 아주 간단하지만 숨어있는 기능을 모르는 분들도 많이 있습니다. 서식에서 몇가지의 설정만 바꾸어준다면 아주 간단하게 테이블이 보기 좋게 바뀌게 되는데요, 어떤 서식을 바꾸면 보기 좋게 되는지 알아보겠습니다.

차트나 테이블의 머리글 & 레이블 순서 간단하게 지정하기

파워 비아이 (Power BI)로 보고서 작업을 할 때 도표에서 머리글이나 레이블의 순서가 늘 가나다 순으로 정리가 되는 건 누구나 알 수 있는 것이죠. 아니면 데이터의 크기순대로 정리가 되겠죠. 하지만 어떤 경우는 초기 설정치를 따라하지 않고 순서를 임의로 지정해서 보고서를 만들어야 할 때가 있는데요. 이럴 때 아주 쉬운 방법으로 정리가 가능합니다. DAX의 복잡한 수식도 필요없이 파워비아이 내에서 테이블로 순서를 직접 입력하고 쿼리 에디터에서 연결만 시켜주면 간단히 해결이 됩니다. 이제 보고서에서 차트나 테이블에서 머리글이나 레이블의 순서를 원하는 데로 만들어 보세요.

DAX - 변수 (Variable)을 이용한 수식의 단순화

파워 비아이 (Power BI)의 DAX의 가장 큰 장점은 수많은 수식을 이용해 하나의 수식으로 만들 수 있다는 것입니다. 주로 하나의 수식으로 끝나는 경우가 없다고 해도 무방합니다. 문제는 수많은 수식을 함께 사용하다보면 너무 복잡해져 보기도 힘들뿐더러 나중에 수정을 하려 할 때 너무 힘들어지는 경우도 많습니다. DAX에서는 이를 해결하기위해 변수 (Variable)을 이용해 수식을 단순화시킬 수 있습니다. 처음에는 약간 복잡할해 보일 수 있으나, 사용해 보시면 정말 편하게 수식을 정리할 수 있습니다. 정말 편리한 변수 (Variable)의 지정, 사용 방법은 어떻게 되는지 알아보겠습니다.